목록경영정보시스템 (7)
투명인간친구

1. eSCM(e-Sourcing Capability Model) 개요 가. eSCM 정의 - 카네기 멜론 대학에서 개발한 IT 아웃소싱 서비스의 계약 전체 단계를 커버하는 품질 모델 - 기존 품질 모델 및 선진 업체의 Best Practices를 참고하여 개발함 - eSCM은 성숙 모델이 아니라 능력 모델로 개발됨 - 프로세스 능력(Capability)은 프로세스 및 결과의 예측(Predictability)을 나타내지만 프로세스 성숙도(Maturity)는 프로세스 능력의 성장 그리고 하나의 세트를 기반으로 성숙도가 더 높은 다른 프로세스 세트를 형성하는 것을 의미 나. eSCM 배경 - IT 서비스 제공자와 고객간의 계약 전체 단계를 커버하는 품질 모델의 부재 - IT 서비스 운영/관리 분야에 적합한 ..

1. BPM( Business Process Management)의 개념 및 도입 목적 1.1 BPM의 개념 1.2 BPM의 도입 목적 2. BPM 도입 Image 및 전개 전략 2.1 BPM 도입 Image BPM는 Business Process Lifecycle상의 전 과정에서 요구되는 핵심적인 기능을 제공함 2.2 BPM 전개 전략 3. BPM Software 3.1 BPM Software Referential Model BPM 소프트웨어는 비즈니스 프로세를 설계, 분석, 최적화하고 자동화하는 기능을 제공하여, Mission-Critical Process의 관리를 효과적으로 지원 해야 함. 3.2 Functions of BPM Software 4. BPM의 도입 기대 효과 및 도입 시 고려 사항 4..

1. MDM(Master Data Management) 가. MDM의 정의 - 특정 응용프로그램과 프로세스로부터 마스터 데이터를 분리시켜 운영처리 환경에서 실시간으로 재사용 가능한 서비스를 제공 - 전사적으로 연결된 비즈니스 데이터를 생성하고 일관성 있게 유지하며 프로세스의 흐름에 맞춰 신뢰성 있는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기술 및 솔루션, 조직 나. MDM의 등장배경 - 각 업무에 따라 마스터데이터를 복사하고 해당 업무에 필요한 정보를 부가하여 사용 - 원천 데이터와 복제된 데이터 사이의 불일치의 가능성으로 신뢰도 저하 현상 발생 - ERP, CRM 등 시스템의 독자적인 마스터 데이터 운영으로 인터페이스 처리로 인한 운영 비용 증가 - 기업의 동적 정보를 처리하는 업무 시스템, 정적 정보를 처리하는 MD..

1. IT Compliance의 개요 가. IT Compliance의 정의 - 정부와 산업계의 각종 규제에 대한 대응 방안을 '컴플라이언스(Compliance)시스템' 이라고 하는데 주고 바젤 II, 사베인스 옥슬리법 등 미국과 유럽의 선진국에서 발생되는 새로운 규제와 변화에 대응하고 급변하는 환경에 대한 민첩하고 능동적인 대처를 지원하기 위한 IT 솔루션 및 프로세스 영역 묶어서 IT 컴플라이언스라고 함 - 기업, 정부기관 등 정보시스템 사용자가 고객정보 보호, 자료 보관, 재무보고서 공시 등과 관련하여 반드시 따라야 하는 규정, 지침 등의 규제(regulations)를 준수하는 것을 의미 - 새로운 규제나 법안, 권고 등 각 나라별 혹은 글로벌 감독당국이 제시한 각종 요건을 만족시킬 수 있도록 기업의..

1. EP(Enterprise Portal) 개요 가. EP 정의 기업 단위의 Web Portal로서 다양한 접속환경을 가진 이용자가 단일 Gateway에서 인증절차를 거쳐 각 권한에 따라 기업의 내부 Document / Application 및 외부 자료들을 개성화되고, 차별화된 화면을 통하여 제공받아 업무처리를 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받는 Web Infrastructure의 Application임 나. EP 발전단계 EIP (Enterprise Infomation Portal) 사람과 정보를 연결하여 정보의 공유를 가능토록 함 ECP (Enterprise Collaboration Portal) 사람과 사람을 연결하여 공동으로 작업이 가능토록 함 EEP (Enterprise Expertise Porta..

1. IT 투자평가의 개요 가. IT 투자평가의 정의 - 정보화가 기업이나 조직의 목표 달성에 얼마나 기여하며, 경제적으로 얼마나 공헌하고 있는가를 사업 관점에서 체계적으로 조사하고 분석하는 행위 - 정보화의 조직 목표 달성에 대한 경제적 공헌도 및 기여도 분석에 필요한 투자성과 평가의 기본들이 정보화 투자성과 평가 방법론이며, 이런 측면에서 정보화 투자성과 평가는 체계적인 정보화 투자성과 평가 방법론을 세워 정보화 투자를 사업 관점에서 조사하고 분석•평가하는 활동으로 정의될 수 있음 - 정보화 평가의 궁극적 목적은 정보화를 통한 비스니스의 '가치' 창출을 평가하기 위한 것으로, 투자 타당성 및 당위성을 분석해 정보화 가치를 입증하고 현실 타당성 있는 효과를 실현할 목표와 정책을 형성하는 것임. 즉 투자..
1. 의사결정지원시스템(Decision support System)의 개요 가. 의사결정지원 시스템의 정의 - 최고 경영자의 의사결정을 도와주는 시스템, 문제가 정형적인 경우에는 미리 준비한 의사결정 규칙에 의해 자동적으로 해결방안을 제시하고, 비정형적인 경우에는 문제를 분석하여 최종결정에 도움이 되는 정보를 제공하며, 각종 요인의 변화에 대해 즉시 결과를 요약하여 제시하는 정보 시스템 - 구조적 문제 : 반복적으로 자주 발생하는 문제 유형으로 해결방안이 명확하게 드러나는 경우 ( 일상적인 거래처리 문제) - 반구조적 문제 : 중간경영층이 다루는 문제, 구조적/비구조적 문제가 복합되어 있음 - 비구조적 문제 : 비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문제 유형으로 문제의 성격과 해결을 위한 대안 선택이 모호한 경우. 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