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명인간친구
기업통합-EP 본문
1. EP(Enterprise Portal) 개요
가. EP 정의
기업 단위의 Web Portal로서 다양한 접속환경을 가진 이용자가 단일 Gateway에서 인증절차를 거쳐 각 권한에 따라 기업의 내부 Document / Application 및 외부 자료들을 개성화되고, 차별화된 화면을 통하여 제공받아 업무처리를 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받는 Web Infrastructure의 Application임
나. EP 발전단계
EIP (Enterprise Infomation Portal)
사람과 정보를 연결하여 정보의 공유를 가능토록 함
ECP (Enterprise Collaboration Portal)
사람과 사람을 연결하여 공동으로 작업이 가능토록 함
EEP (Enterprise Expertise Portal)
정보뿐만 아닌 기술과 전문분야에 기초하여 사람들을 연결가능토록 함
EKP (Enterprise Knowledge Portal)
위 3가지를 모두 포함하여 단순 정보위주에서 지식위주로 연결가능토록 함
2. EP(Enterprise Portal) 종류 - EIP
가. EIP 정의
EIP는 엔터프라으즈 포탈(enterprise portal), 코퍼레이트 포탈(corporate portal)이라고 불리우는 것으로, 고객과 임직원, 협력업체 등 기업의 비즈니스 관련 주체들에게 기업관련 각종 정보를 웹이라는 단일화된 접점으로 통해 제공하는 것
나. EIP 주요기능

다. Portal의 종류 - Giga Group의 Portal 분류

라. EIP와 EKP 차이점
- EKP(Enterprise Knowlodge Portal)는 KMS, EIP와 많은 공통분모를 갖고 있음
- KMS가 그룹웨어, EDMS(Electronic Document Management System)등의 문서, 데이터를 지식으로 변환해 관리하고 여기에 검색 엔진, 지식 문서에 대한 평가 보상 등의 시스템을 갖춘 솔루션이라면,
- EIP는 기업 내외부의 모든 데이터를 EAI(Enterprise Application Integration)를 이용해 ERP(Enterprise Rource Planning), CRM(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SCM(Supply Chain Management) 등 기간 시스템들과 통합, 이를 단일 화면에서 개인화한 서비스라고 볼 수 있는데 여기에 근간을 두고 있음.
EKP = KMS(그룹웨어 + EDMS + 검색 엔진) + EIP
- EKP와 EIP의 차이점은 EIP가 정보의 제공, 통합에 초점을 맞춘 것이라면 EKP는 지식의 추출, 변환, 재활용에 초점을 맞춘 것으로 의사 결정의 직접적인 수단으로 활용이 가능함. 즉 EKP는 KMS, EIP의 업그레이드된 애플리케이션이라고 할 수 있음
3. 통합 측면의 EP와 EAI 관련성

4. 통합 측면의 통합 EP 조감도
통합 멀티포털, 통합커뮤니케이션, 통합협업의 통합 환경 인프라를 통해 Any Place, Any Device, Any Time상에서 사용할 수 있는 인프라 아키텍처 환경


21. EIP(Enterprise Infomation Portal)의 개요
가. EIP의 정의
- EIP는 엔터프라이즈 포탈(enteprise portal), 코퍼레이트 포탈(corporate portal)이라고도 불리우는 것으로, 고객과 임직원, 협력업체 등 기업의 비즈니스 관련 주체들에게 기업관련 각종 정보를 웹이라는 단일화된 접점을 통해 제공하는 것(Gartner)
- 기업 내부와 외부정보를 통합해 이용하는 사람이 단일 게이트웨이를 통해 중요한 의사결정을 내리는데 필요한 맞춤 정보르 제공할 수 있게 하는 애플리케이션(Merrill Lynch)
- 특정 목적을 위해 적합한 수준의 정보에 대한 개별적인 접근을 제공하는 것(Ovum)
- 상기 정의들을 통해 EIP의 개념에 공통적으로 정보의 통합, 단일 접근, 개별화된 정보 등의 개념이 핵심 키워드임을 알 수 있음
- 인트라넷과 엑스트라넷이 정보 제공 대상자를 각각 기업 내부 직원과 거래업체로 분리해 정보를 제공했다면, EIP는 단일 액세스 포인트에서 내부 직원, 외부 고객, 거래업체 등 기업 내외부로 확대된 사용자를 대상으로 통합된 기업 정보를 제공
나. EIP의 등장배경
- 1996년 12월 Yahoo가 My Yahoo라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한 이후 EIP 개념이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My Yahoo에서는 사용자 개인을 위한 웹 페이지 화면 구성이 가능하며, 이로 인해 불과 2년 만에 다섯 배 이상의 고정 방문자를 확보할 수 있게 됨. EIP는 네트워크 경제로의 전환과 함께 정보 접속의 중요성이 나날이 높아짐에 따라 등장하게 되었고, 언제 어디서 누구나 필요한 정보에 접속할 수 있는 업무 환경은 기업 경쟁력 확보의 핵심 요소, 이는 고전적 개념의 기업 운영이 아닌 새로운 e비즈니스 접근방법과 정보 인프라가 요구됨을 의미. 기존 개별적으로 도입된 정보시스템에는 필연적인 한계가 존재하며 기업 내부에서 각종 솔루션(그룹웨어, ERP, CRM, SCM 등) 난립 현상이 빚어지면서 시스템자원의 중복, 데이터 활용 제약, 정보흐름의 단절 등 많은 부작용이 발생하는데, 이들 솔루션이 통합 운영되지 않으며 신속한 의사결정을 내리거나 업무 처리에 어려움을 겪을 수 밖에 없음. 따라서 EIP는 바로 이런 시대적 변화를 잘 반영하면서, 정보 인프라의 통합을 위한 최선의 대안으로 등장하게 됨

22. EIP의 주요기능 및 Portal의 분류
가. EIP의 주요기능

나. Portal의 분류
1) Giga Group의 Portal 분류

2) Delphi Group의 포탈 분류

3) 일반적인 포탈 분류

23. EIP와 타 경영정보시스템과의 비교
가. EIP와 EAI의 비교

[EIP와 EAI의 관계]
EIP는 단순히 사내 업무를 위한 인트라넷 수준이 아니라 B2B 나 B2C 등 기업 외부로까지 확장해 구현하기 위해서 백 엔드의 애플리케이션까지 통합이 이루어져야 시너지 효과가 큼. 따라서 EAI가 구축되지 않은 기업 정보 포털은 기업내 각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 처리결과를 백엔드에서 별도의 프로그래밍 수작업 절차를 거쳐 영향을 주는 각 애플리케이션 간을 연결시켜 줘야 하고, 애플리케이션별 데이터 포맷을 프로그래머가 새롭게 작성해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하게 됨
하지만 EAI가 EIP를 구축의 전제조건은 아니며 단, EIP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EAI가 필요
프런트엔드 통합 솔루션 업체를 기술적으로 백엔드 통합 요구가 나오고, 백엔드 통합 솔루션 업체는 백엔드에서 통합해서 포털로 보여줘야 하는 프런트엔드 통합 기능이 요구되기 때문에 기업의 진정한 통합을 위해 EAI와 EIP는 서로 보완적인 관점에서 적용되어야 함
나. EIP와 EKP의 차이점
- EKP(Enterprise Knowledge Portal)는 삼성SDS와 핸디소프트에 의해 본격 확산된 개념으로 KMS, EIP와 많은 공통분모를 갖고 있음
- KMS가 그룹웨어, EDMS(Electronic Document Management System) 등의 문서, 데이터를 지식으로 변환해 관리하고 여기에 검색 엔진, 지식 문서에 대한 평가 보상 등의 시스템을 갖춘 솔루션이라면, EIP는 기업 내외의 모든 데이터를 EAI(Enterprise Application Integration)을 이용해 ERP(Enterprise Resource Planning), CRM(Customer Relationshop Management), SCM(Supply Chain Management) 등 기간 시스템들과 통합, 이를 단일 화면에서 개인화한 서비스라고 볼 수 있는데 여기에 근간을 두고 있는 EKP를 단순하게 도식화하면 KMS(그룹웨어+EDMS+검색 엔진)+EIP=EKP로 정의할 수 있음
- EKP와 EIP의 차이점은 EIP가 정보의 제공, 통합에 초점을 맞춘 것이라면 EKP는 지식의 추출, 변환, 재활용에 초점을 맞춘 것으로 의사 결정의 직접적인 수단으로 활용이 가능함. 즉 EKP는 KMS, EIP의 업그레이드된 애플리케이션이라 할 수 있음
24. EIP 도입효과 및 도입 시 고려사항
가. EIP의 도입효과

나. EIP 도입 시 고려사항

#. 참고자료 : 그룹웨어의 개요
가. 그룹웨어의 정의
- 그룹웨어라는 용어는 요한센(Johansen)에 의하여 처음으로 창시되었고, 그룹웨어는 컴퓨터에 의한 지원활동(Computer Supported, CS)과 협동작업(Cooperative, CW)이라고 하는 두 가지의 개념에서 출발
- 그룹웨어라는 용어는 1978년 Peter와 Trudy에 의해서 "그룹상호간의 프로세스에 그들을 지원하는 소프트웨어를 결합한 것이다"라고 최초로 정의됨
- 일반적으로 그룹웨어는 다양한 정보기술을 조직의 문화, 업무절차 및 제반 환경에 접목시켜서 그룹의 업무활동을 지원하는 사고 혹은 개념이라고 할 수 있음
- 그룹웨어는 정보시스템 자체라기 보다는 정보시스템 활용을 위한 개념적인 프레임웍으로 이해해야 할 필요가 있음. 즉, 그룹의 업무활동을 지원하는 주요 정보기슬과 조직적 기반구조(업무절차, 조직문화 등)의 통합적 복합체 임
나. 그룹웨어의 기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