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투명인간친구

IT 투자평가 본문

카테고리 없음

IT 투자평가

투명인간친구 2022. 2. 17. 23:42

1. IT 투자평가의 개요

 가. IT 투자평가의 정의

  - 정보화가 기업이나 조직의 목표 달성에 얼마나 기여하며, 경제적으로 얼마나 공헌하고 있는가를 사업 관점에서 체계적으로 조사하고 분석하는 행위

  - 정보화의 조직 목표 달성에 대한 경제적 공헌도 및 기여도 분석에 필요한 투자성과 평가의 기본들이 정보화 투자성과 평가 방법론이며, 이런 측면에서 정보화 투자성과 평가는 체계적인 정보화 투자성과 평가 방법론을 세워 정보화 투자를 사업 관점에서 조사하고 분석•평가하는 활동으로 정의될 수 있음

  - 정보화 평가의 궁극적 목적은 정보화를 통한 비스니스의 '가치' 창출을 평가하기 위한 것으로, 투자 타당성 및 당위성을 분석해 정보화 가치를 입증하고 현실 타당성 있는 효과를 실현할 목표와 정책을 형성하는 것임. 즉 투자 실행 이전에는 정보화 투자의 의사결정을 합리화하고 투자실행 이후에는 정보화에 의한 사업적 이익의 극대화를 통해 궁극적으로 비즈니스 가치 창출자로서 IT의 역할을 정립하는 것임

 나. 정보화 투자성과 평가의 어려움(요인)

출저 : 정보화 투자성과 평가(IT ROI)의 개요 및 현황, 2003.11, 경영고 컴퓨터, 박기한

 

2. IT 투자성과 평가 절차 및 IT 투자성과 관리 체계

 가. IT 투자성과 평가 절차

 나. IT 투자성과 관리 체계

출저 : IT Life Cycle 전반에 대한 솔루션 기반의 투자성과 관리, 엔트루 컨설팅/

 

3. IT 투자성과 평가 방법론

 가. 재무적 방식(Financial Approach)

  - 이 분류에 해당하는 방법론들은 IT와 관려한 지표 사용과 위험 평가를 연계해 재무적 평가 방식을 근간으로 평가하는 방식임. 흔히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방식은 재무 관점의 비용•효과(Cost-Benefit) 기법을 통해 투자수익률(ROI), 순현재가치(NPV: Net Present Value), 내부수익률(IRR: Internal Rate of Reture), 회수기간법(PP: Payback Period) 등으로 결과 값을 도출하는 것임. 순수한 재무 기법만을 썼을 경우 돈의 대한 흐름만 파악한다는 단점도 있으나 많은 방법론이 이를 기반으로 삼는 경우가 많고 현업에서 쉽게 이해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음. 그밖에 재무제표 등을 이용한 EVA, IP(Infomation Productivity) 등 한층 진보된 재무적 접근 방식도 있음

 나. 정성적 방식(Qualitative Approach)

  - 이 분류에 속한 방법론들은 조직•프로세스•기술에 초점을 두고 주로 정성적으로 평가를 하고 있으나 일부는 주관적 성격을 띠는 부분도 있음. 이는 최초에 USI (User Satisfaction Index) 같은 시스템 이용도와 만족도 평가에서 유래를 찾을 수 있으며, 최근에 포트폴리오 분석을 발전하면서 정량적 분석을 보완하려는 방안으로도 사용되고 있으며, 주로 IT 전략 평가나 포트폴리오 분석 등에  사용

 다. 다중접근 방식(Multi-Criteria Approach)

  - 이 접근 방식은 재무적인 지표와 비재무적인 지표를 모두 고려하는 경우로, 성격이 다른 지표들이 비교되므로 평가하기가 어려운 방법임. 일반적으로 어떤 시스템을 평가하려면 여러 지표들을 고려하게 되는데 여기에서는 이런 여러 지표들을 동시에 고려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음

 라. 통계산술적 방식(Probabilistic Approach)

  - 이 방법론들은 통계적이고 수학적인 모델들을 사용해 과학적 접근을 통해 IT 가치를 평가, 예를 들어 어떤 확률 범위 안에 위험을 계산하는 등 매우 정교한 반면, 경우에 따라 비즈니스 언어로 설명하기 곤란한 측면도 있음

 

4. TCO(Total Cost of Ownership)

 가. TCO의 개념

  - 기업의 조직이 비용을 잘 측정하고 관리하며 절감하는 것을 지원하며, IT 투자의 전체적인 가치를 향상시키는 방법론, 모델 및 도구를 포함하는 포괄적인 개념

  - IT 자산과 인프라 자원을 관리하는 도구로 IT 인프라 핵심 관리 툴. IT 인프라와 애플리케이션의 강점과 약점을 파악하는 것임

  - TCO 는 자산의 초기구입 비용 이외에 그 자산의 유지와 관리, 처분에 관련된 모든 비용을 의미하는데 총소유 비용을 제대로 산출하기 위해서는 작업자의 인건비, 유지관리비용, 지원 비용 등 모든 비용 요소를 고려해야 함. 컴퓨터 자산의 경우에는 가동 정지(Downtime)에 따른 영향과 비공식적인 기술 지원(공식 경로 기술 지원을 요청하지 않고 컴퓨터 지식이 풍부한 동료 직원에게 도움을 요청하는 경우) 등 숨겨진 비용(Hidden Cost)이 많은데도 불구하고, TCO 개념이 나오기 전에는 자산의 구입과 유지관리에 소요되는 진짜 비용에 대한 인식이 부족했음

 나. TCO의 발전과정

TCO 개념은 1980 년대 말과 1990 년대 초에 널리 확산되는데 이전의 데이터 센터 시스템보다 분산시스템이 훨씬 더 저렴한 것으로 인식되면서 대규모로 구축되기 시작할 때임. 당시 가트너 그룹의 Bill Kriwin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구매 비용은 그 자산의 소유에 따른 총 비용 가운데 15%에 불과하다고 주장하는데, 유지관리, 지원 숨겨진 간접 비용 등이 그 자산의 보유에 따른 총 비용의 85%나 된다는 것임

TCO는 1986년 고객의 요청에 의해 가트너의 Bill Kirwin , Tom Pisselo 등이 PC를 소유하는데 따른 구매, 행정, 설치, 이등/추가/변경, 기술 지원, 유지보수, 동료들의 지원, 가동 중단 시간 드에 대한 유지비와 기타 숨겨진 비용을 계산하는 데에서 시작. 그들은 위에 기술한 것처럼 그 누구도 쉽게 수긍할 수 없는 결과, 즉 간접 비용이 직접 비용을 초과하는 IT만의 놀라운 특성을 밝혀냄

따라서 TCO 분석을 통해 기업은 조직 내, 직•간접 비용 구조를 이해해 IT의 조직•업무•프로세스상에서 비용 낭비 요소를 파악하고 이를 개선하며, 앞으로 IT와 관련된 의사결정에 합리적인 기준을 제시할 수 있음. 하지만 TCO의 단점은 위험을 분석하거나 IT와 전략적 비즈니스 목표들을 연계하는 효과(Benefit) 분석을 제공하지 못한다는 것임

 다. TCO의 구성

 라. TCO 산출 절차

*복잡도(COMPLEITY) : 최종사용자 입장에서 바라본 어플리케이션, 자산, 사용자, 프로세스, 정책 및 관리의 다양성과 형태에 대한 상대적 측정 방법으로서, 복잡도가 높을수록 인당 TCO가 커짐.

복잡도는 IT 자산 현황, 최종사용자 특성 분류 및 설문지 분석을 통하여 TCO 방법론에서 자동 산출되고, 지수는 0~10의 범위로 나타냄 (복잡도가 높은 IT 환경일수록 비용절감 기회가 많음)

 

5. ROI (Reture On Investment)

 가. ROI 의 개념

  - 예정 프로젝트의 순효과를 총비용으로 나누어 계산한 비율 (ROI = 누적순효과 / 총비용)

  ROI 는 순효과와 비용의 비교를 통해 어떤 투자 프로젝트의 가치를 증명하는 지표로 사용. 예를 들어 어떤 프로젝트의 ROI 가 200%라면, 그 프로젝트 추진으로 얻는 총순효과는 예상 총비용의 두배에 해당됨. ROI는 분석 기간 동안의 누적순효과를 누적비용으로 나누어 백분율로 나타낸 상대 가치임

 나. ROI 평가 방법

 다. ROI의 문제점

  - ROI 는 경우에 따라서 계산하지 않는 경우가 있는데, 우선 프로젝트 총비용과 효과가 너무 작아 순효과를 검토할 가치도 없는 경우는 고려하지 않음. 비용이나 효과의 규모와 상관없이, 순효과가 비용보다 더 클 때 높은 ROI 가 나오는데, 예를 들어 예정 프로젝트의 ROI 가 500%나 되더라도 100만원 투자에 따른 순효과가 500만원 경우가 있음. 일반적으로 억 단위 규모가 투자가 이루어지는 경우와는 비교할 때 ROI 를 따지는 것이 별로 의미가 없게 됨

또는 순효과와 ROI 가 아무리 높게 나오더라도 비용이 너무 커서 합리적인 수준 이상의 리스크가 잠재되어 있을 때도 고려하지 않음. 예를 들어 프로젝트 비용이 1,000 억에 달하고 예상 순효과가 1조에 이르는 경우에는 ROI가 1,000%나 되지만, 기업에서 한 프로젝트에 1,000억을 투자할 때의 리스크는 한 기업으로서 감당하기에 너무 클 수 있음. 따라서 경우별로 배경 상황에 대한 고려가 있어야 함

  - 전통적으로 ROI 분석에서는 시간 개념을 고려한 순현재가치를 사용하여 계산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잇음 (하지만 알리니언의 리스크 조정 ROI 계산은 이 요소를 고려하고, 추가적으로 무형의 효과와 리스크 요소 평가도 포함시켜야 하므로 보다 현실적인 분석이 될 수 있음)

 라. ROI 와 TCO 의  차이점

  - TCO 는 자산의 소유나 활용에 따른 효과와 상관없이, 5년 기간 동안에 걸친 평균 소유 비용을 연간 단위로 나타낸 것이 반면, ROI 는 프로젝트 구축 비용과 그에 따른 효과를 모두 분석하여 예정 프로젝트의 긍정적 효과와 부정적 효과, 그리고 경제적 타당성을 평가

  - ROI 는 프로젝트와 직접적으로 관계된 비용과 효과만을 대상으로 하지만, TCO는 IT의 모든 측면을 고려한 총 비용임

  - TCO는 비용 문제를 밝혀내는데 있어서 좋은 관리 도구이지만, ROI는 예정 프로젝트의 비용과 효과를 평가하는 비용 절감 대책을 모색하는 필수 도구

  - TCO와 ROI와의 관계를 보여주는 공식

  ㄴ현재 TCO - 이후 TCO = IT 인프라 개선에 따른 총 절감 규모

  ㄴROI = 순효과 / TCO

TCO와 ROI의 관계, 출처 : IT ROI & IT Value Chain Manageement IT 투자성과 극대화 방법, P189

 

11. 정보화 투자 성과평가의 개념

 가. 정보화 투자 성과평가의 정의

  - 정보화가 기업 또는 조직의 목표달성에 얼마나 기여하며, 경제적으로 얼마나 공헌하고 있는가를 경영자, 관리자 관점에서 조사하고 분석하는 행위

  - 정보시스템 뿐만 아니라 IT와 관련된 활동, 조직, 비용, 효과 등을 분석대상으로 함

 나. 정보화 투자 분석 체계 필요성

 다. IT 투자평가의 목적

  - 정보화 효과의 극대화를 달성하기 위해서 객관적이고 합리적이며 효율적이며 체계적인 정보화 투자관리 체계 실현 및 정보화 성과평가 시스템 구축이 요구됨

 라. IT 투자평가 성과영역

 마. IT 투자성과 평가체계 구성요소

  1) IT 투자성과 평가 모형

  - IT 거버넌스 모형

  2) IT 투자평가 성과지표

  가. IT성과지표 선정 유의사항

  - 다양한 측면 고려 : 전략적, 프로세스적, 재무적, 기술적 측면의 측정지표 개발 및 선정

  - 중복통합 : 각 분야의 중복된 측정지표의 통합관리

  - 신규지표 창출 : 필요시 새로운 측정지표의 개발 (선진사례 참조 가능)

  3) IT 투자 평가 프로세스

  - 사전평가 및 사후평가의 일반적 수행절차를 중심으로 평가수행

 가. IT 투자평가 방법

 나. IT 투자성과 기대효과

 아. IT 투자성과 평가시 고려사항

  - 과대평가 배제 : 정확한 근거에 기반산정, 측정기법 및 기초 데이타 오류 최소화

  - 평가방법론 선정 : 기간, 시점, 비용등에 최적 평가방법론 선정

  - 정성적 효과측정 : 정보화 무형효과에 대한 효율적 측정지표 개발

 

21. 균형적 성과관리 BSC(Balanced Score Card) 개요

 가. BSC 정의

  - 전략 및 목표가 제대로 수행되고 있는지를 관련된 핵심성과지표를 통해 경영진이 판단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전략관리 도구

  - 기존 재무재표 중심의 성과관리 한계를 극복하고 회사의 전략실행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제공을 목적으로 개발된 성과관리 도구

 나. BSC 핵심

  - Balance : 지표간의 균형성

  - Strategy : 전략과의 연계성

  - Communication : 전략 의사소통 도구

 다. BSC 도입 필요성

 

22. BSC 개념도 및 구성요소

 

23. BSC 구축절차 및 문제점 / 해결방안

 가. BSC 구축절차

 나. BSC 문제점 및 해결방안

 

24. BSC 전략체계 맵

 

31. IT-BSC 개요

 가. IT-BSC 정의

  - 재무, 고객, 내부업무 프로세스, 학습 및 성장 측면을 고려하여 IT 투자 효과분석과 성과측정을 위한 투자성과 평가 관리체계

  - 일반적인 Business BSC를 IT성과 평가에 맞도록 재구성 한 것으로 기업의 전략 목표와 비젼, 업무 목표를 연계시키는 전략적 관리 시스템

 나. IT 투자관리에서 IT-BSC 필요성

  - 성과척도의 재무적 지표 의존도 탈피

  - 기업의 가치창출을 위한 IT 투자 마인드 확대

  - 균형을 이루는 유기적 성과지표 시스템 개발

  - 전략과 활동을 연계시키는 IT 투자관리체계 구축

 다. IT 투자관리 시스템화 목표

  - IT 투자에 대한 적정성 및 타당성 평가

  - IT 운영 효율화를 위한 개선방향 도출

  - IT 투자 성과 평가모델 및 사업계획 프로세스 자동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