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투명인간친구

BCP/DRP/DRS 본문

카테고리 없음

BCP/DRP/DRS

투명인간친구 2022. 2. 18. 10:42

1. BCP(Business Continutiy Planning)의 개요

 가. BCP의 정의

 - 단순히 IT측면뿐 아니라 '비즈니스 관점에서 본 재해복구 체계 갖추기'로 보다 넓게 이해할 수 있는데(국낸에서는 단순히 IT재해복구 측면만이 부각되는 경우가 있음), 시스템 운영복구, 데이터 백업 등 IT재해복구뿐 아니라 기업의 핵심 업무를 계속 유지하고, 고객서비스의 지속성을 보장하기 위한 기업(조직) 전반적인 영속성 유지를 포괄하는 개념

  - BCP 란 조직이 미리 정의된 최소 수준의 운영을 보장할 수 있도록, 사전에 위험을 방지하고 고객서비스 및 기업 핵심업무의 연속성을 유지함으로써 기업가치를 극대화하는 개념

 나. 재해의 정의

 다. BCP의 등장배경

  - 기존 ASP, xSP 등의 사업 모델의 위험성 제거

  - Utility Commputing, On-demand 등 다양한 ITO 모델 등장

  - SOA 기반의 유연한 통합의 중용성 대두

  - 기업의 IT 자원에 대한 TCO 최소화 촉구

 라. BCP 구축 절차

 마. BCP의 주요단계별 수행내역

 바. BCP에서 BCM(Business Continuity Management)으로 전환

  1) BCM의 진화

  - 1990년대 초반, BCM은 자연재해와 중요한 업무 구성요소들의 장애에 대비하여 별도의 데이터센터에 72시간 안에 복구할 수 있도록 하는 IT재해복구를 의미

  - 1990년대 중반, 비즈니 프로세스 보호, 복구계획이 개발

  - 1990년 후반, 기업들이 비즈니스 프로세스 리엔지니어링을 수행하고, Y2K에 대비하기 위하여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점검하여 보니, 그들의 전통적인 복구계획-72시간 내 업무복구의 복구기간이 충분하지 않음을 인지하게 되었다. 그리하여 기업들은 4-24시간 안에 모든 업무가 복구되도록 재해복구에 들이는 지출을 강화

  - 기업형태가 전자상거래와 실시간으로 비즈니스가 일어나는 기업(RTE)으로 진화하면서 또 다른 BCM으로의 개념이 나타남

  2) BCM의 구성요소

자료 : Gartner 리서치

2. DRS(Disaster Recovery System)의 개요

 가. DRS의 정의

  - 천재지변이나 해킹 등 각종 재해에 대비해 System을 Recovery 가능한 상태로 구축한 시스템

  - 재해복구계획(DRP : Disaster Recovery Planning)이란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대고객 기간업무에 해당하는 IT시스템이 재난으로 인하여 중단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기업의 중대한 손실요인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원격지에 별도의 IT시스템을 구축하고 평상시와 평상시의 운영계획을 수립하는 것임

 나. DRS의 등장배경

  - 업무의 정보시스템 의존도 증가

  - 해킹, 테러 등 위협 요인의 증가

  - 조직 분산화 등으로 경영환경 변화

 다. DR의 유형   

 마. DRS(DRP)와 BCP의 차이점

  - BCP는 DRS와 혼동되어지는 경우가 종종 있어왔지만, 최근에는 BCP는 DRP를 포괄하는 개념으로 정립되고 있음. 각자의 목적 측면에서 비교해 보면, BCP는 심각한 중단 상황에서 복구가 진행되는 동안에 필수적인 사업을 유지하기 위한 절차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되는 반면, DRP는 정보시스템 인프라와 Application, Data 등 기업의 사업운영에 필수적인 정보자산의 복구를 촉진하기 위한 상세한 절차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

따라서 각각의 범위도 목적에 따라 달라지게 되고 BCP는 실제의 업무 프로세스와 업무 프로세스를 지원하기 위한 IT 영역에 집중하는 반면, DRP는 IT 중심적이고 장기간 효과를 지속하는 중요한 중단에 국한. 실행 주체도 BCP는 각 Business Unit을 중심으로 수행하지만 DRP는 각 업무부서와는 별도로 정보시스템 부서를 중심으로 진행됨.

  - DRP는 대상 측면에서 명확하게 범위를 설정할 수 있음. 처리시설은 정보시스템 부서를 중심으로, 운영시설은 사업단위 중심으로 수행. 반면 BCP에 업무는 물론 사람, 물리적 사무공간, 중요 문서 등을 포함하여 사전에 준비하기 어려운 수많은 항목들이 있음. 따라서 BCP는 사전에 꼼꼼히 계획하고, 여러 번의 모의 훈련을 거침으로써 그 대상을 확정 질 수 있게 됨

BCP가 Business 관점에서 정의가 됨으로써 Business 지원을 위한 정보시스템의 복구를 포함하게 되고, 결구 BCP는 사업운영 측면에서의 계속성과 정보시스템에서의 복구계획을 모두 포함한 의미로 정의가 되고 있음

 

11. BCP(Business Continuity Planning) 개요

 가. BCP 정의

  - 각종 재해나 재난의 발생을 대비하여 핵심 시스템의 가용성과 신뢰성을 회복하고 사업의 연속성을 유지하기 위한 일련의 사업지속계획과 절차.

  - 단순한 데이터의 복구나 원상회복 뿐만 아니라 고객 서비스의 지속성을 보장하고 그로 인한 고객의 신뢰도를 유지하고 나아가 기업의 전체적인 신뢰성 유지와 가치를 최대화하는 방법

  나. BCP / BP / DR 관계

 

12. BCP(Business Continuity Planning) 구성요소

BCP는 전반적인 위기관리(Crisis Managememt)를 기반으로 하여 재해복구(Disaster Recovery), 업무복구 및 재개(Business Recovery & Resumption), 비상계획(Contigency Planning) 등을 포함

 

13. BCP(Business Continuity Planning) 구축절차 및 핵심 요소

 

14. BCP와 DRP 차이

DRP 정의

 - 재해복구계획(DRP : Disaster Recovery Planning) 이란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대고객 기간업무에 해당하는 IT시스템이 재난으로 인하여 중단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기업의 중대한 손실요인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원격지에 별도의 IT 시스템을 구축하고 평상시와 비상시의 운영계획을 수립하는 것을 말함.

15. DRS에서의 백업센터 구축 방안